반응형
- 약 90여권의 저서를 남김
- 귀족출신. 83세까지 장수.
- 귀족이지만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음
- 추상적, 관념적, 현학적, 사변적인 것은 거부
- 구체적, 경험적, 실용적, 현실적인 것을 추구
- 작품속에는 문학과 사상, 예술과 교육 철학이 융합되어있음
- 지주였지만 자기가 직접 농지 경영 및 농사에도 직접 참여
- 1858년 고향 야스니야 폴랴나에 농민학교를 세우며 교육에도 열정적으로 참여
- 미에 대한 기준이 독특했음
- 단순히 아름답기만 한 것은 거부, 기쁨과 쾌락만을 주는 예술도 거부
- 실용적인 목표가 있는 아름다움을 추구
- 톨스토이 인생의 가장 중요한 사건
- 결혼
- 1862년, 35세 16세 연하의 소피와 베르스와 결혼
- 48년 불화와 갈등이 끊이지 않았던 결혼 생활
- 13명의 아이
- 5명 사망하고 8명은 장성하여 일가를 이루어 톨스토이 후손이 약 200명임
- 톨스토이의 대작 대부분은 결혼 이후 집필
-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야스니야 폴랴나에 정착하여 안정적인 삶을 꾸리면서 대작 집필에 몰입하게 됨
- 회심
- 참회록 : 삶의 절정을 누리던 중 과거에 대한 깊은 회한 끝 탄생한 작품
- 이후 참된 인생을 살기로 다짐. 이후 작품들은 이를 반영
- 결혼
이것은 갑자기 발생한 사태가 아니라 내 안에서 오래전부터 예비된 것이었다.
- 톨스토이. <참회록> 중
공포와 혐오와 아픔을 느끼지 않고는 나는 그 시절을 회상할 수 가 없다. 나는 전쟁에서 많은 사람을 죽였다. 죽이기 위해서 남에게 결투도 신청했다. 노름 때문에 돈을 크게 탕진 할 적도 있다. 농부들이 땅 흘려 수확한 것으로 무위도식 하면서도 그들을 저버렸다. 간음도 했고 거짓말도 했다 기만, 절도, 폭행, 만취 살인 등등 내가 저지르지 않은 죄악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
- 톨스토이. <참회록> 중
- 어떻게 살 것인가를 평생동안 고민한 작가
- 사변적이나 현학적인 이야기, 난해한 문장, 화려한 문체 표현이 없음. 어떻게 살 것인가의 문제를 대중에게 전하고자 쉬운 문체를 선호.
- 작가이지만 "어떻게 쓸 것인가"를 고민하기 보다는 "어떻게 살 것인가"를 고민했고 작품 속에 그대로 녹아 있음. 평생 삶과 죽음의 문제를 성찰했음.
- 톨스토이가 찾은 삶의 해답 : "성장"
- 성장이란 ? 성찰과 학습을 통해 자기 완성에 도달하는 과정.
- 내가 나 자신을 알고 나 자신을 이해, 나 자신과 훌륭한 관계를 맺으면서 더 나은 최선의 나를 만들어 가는 것. 자신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는 것. 그 자체가 아님. 상대방이 없는 나는 무의미. 타인에게 비친 나를 아는것이 먼저.
- 나와 나의 관계,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바르게 정립하는 과정.
- 성장은 완결된 목표가 아닌 과정임. 시간의 흐름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것.
- 나 와 나, 나와 세계, 시간의 흐름을 따라 성장하는 삶.
- 성장이란 ? 성찰과 학습을 통해 자기 완성에 도달하는 과정.
우리에게 기쁨을 주는 것은 진리 그 자체가 아니라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 우리가 기울이는 노력이다.
- 톨스토이. <인생의 길> 중
- 안나 카레리나 : 회심 바로 전인 1877년 작품. 회심을 하기까지 겪었던 마음의 변화들, 도덕적인 삶에 대한 비전이 녹아 있음. 연애, 불륜소설로 알려졌지만 소설의 주인공은 톨스토이가 자기의 분신으로 설정한 레빈이라는 청년임. 그 청년의 성장과정이야말로 톨스토이가 우리에게 전달하려고 했던 메세지라 할 수 있음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vCPiTDW-y1E
반응형
'일일로그 > 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도스토예프스키] 추악한 본능이 선이 되는 마법 (0) | 2023.06.24 |
---|---|
[톨스토이] 안나 카레니나 (1) | 2023.05.07 |
[서머싯 몸] 달과 6펜스 (0) | 2023.05.01 |
[도스토예프스키] 지하로부터의 수기 (0) | 2022.12.10 |